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

programmers.co.kr

https://nodingco.tistory.com/45

 

[JAVA] 프로그래머스 77484.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Lv.1)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nodingco.tistory.com

접근 방법은 위의 JAVA 풀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olution(lottos, win_nums) {
    let answer = [0,0];
    const grade = [ 6, 6, 5, 4, 3, 2, 1 ];

    let p = 0;
    let c = 0;

    for (let i = 0; i < 6; i++) {
        if (lottos[i] == 0) {
            p++;
        } else {
            for (let j = 0; j < 6; j++) {
                if (lottos[i] == win_nums[j]) {
                    c++;
                    break;
                }
            }
        }
    }
    
    answer[0] = grade[p+c];
    answer[1] = grade[c];
    
    return answer;
}

lottos = [ 44, 1, 0, 0, 31, 25 ]
win_nums = [ 31, 10, 45, 1, 6, 19 ]

console.log(solution(lottos, win_nums))
728x90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

programmers.co.kr

 

https://nodingco.tistory.com/45

 

[JAVA] 프로그래머스 77484.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Lv.1)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nodingco.tistory.com

접근 방법은 위의 JAVA 풀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lottos, win_nums):
    grade = [ 6, 6, 5, 4, 3, 2, 1 ]
    answer = []
    p = 0
    c = 0
    
    for i in range(6):
        if(lottos[i] == 0):
            p+=1
        else:
            for j in range(6):
                if(lottos[i] == win_nums[j]):
                    c+=1
    answer.append(grade[p+c])
    answer.append(grade[c])
    
    return answer

lottos = [ 44, 1, 0, 0, 31, 25 ]
win_nums = [ 31, 10, 45, 1, 6, 19 ]

print(solution(lottos, win_nums))
728x90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

programmers.co.kr

 

지난번에 풀었던 신고결과받기 문제가 레벨1 치고 신경쓸게 많아서 걱정했는데,

이번 문제는 정말 간단한 난이도였습니다.

라이브러리나 자료구조(배열을 제외한)의 활용 없이 반복문과 조건문 정도만 사용해도 풀이가 가능했습니다.

 

내 로또에서 맞춘 번호의 갯수를 c (Correct Number) 맞출 가능성이 있는 번호의 갯수를 p (Potential Number)로 따로 카운팅하고 번호 갯수에 따라 미리 등수 배열을 만들어 놓은 뒤 넣어주는 식으로 구현했습니다.

 

만약 로또용지의 번호 갯수가 달랐다면 내가 이미 맞춰서 소비된 번호를 고려한다던지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했을것 같지만 문제의 조건에선 별다른 특이사항이 보이지 않아서 쉽게 구현했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q77484_Programmers_로또의최고순위와최저순위 {

	static int[] lottos = { 44, 1, 0, 0, 31, 25 };
	static int[] win_nums = { 31, 10, 45, 1, 6, 19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nswer = { 0, 0 };
		int[] grade = { 6, 6, 5, 4, 3, 2, 1 };

		int p = 0;
		// potential Num
		int c = 0;
		// correct Num

		for (int i = 0; i < 6; i++) {
			if (lottos[i] == 0) {
				p++;
			} else {
				for (int j = 0; j < 6; j++) {
					if (lottos[i] == win_nums[j]) {
						c++;
						break;
					}
				}
			}
		}
		
		answer[0] = grade[p+c];
		answer[1] = grade[c];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
}

 

 

728x90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의 문제입니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34

 

코딩테스트 연습 - 신고 결과 받기

문제 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programmers.co.kr

 

 

 

 

문제 자체는 간단한 시뮬레이션입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신고를 당한 이용자가 아닌 신고자에게 결과를 보내야한다는 점,

그리고 같은 신고를 여러번 하는 경우를 예외처리해 하나로 카운팅 해야 한다는 점 입니다.

 

저는 HashMap 자료구조를 활용해 이용자의 id를 Integer로 연결시키고,

같은 크기의 배열을 활용해 신고 기록을 저장, 활용했습니다.

이용자의 전체 크기가 최대 1000명이기 때문에 해당 2차원 배열의 크기는 1000x1000으로 코딩테스트에서 사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92334_Programmers_신고결과받기 {

	static String[] id_list = { "muzi", "frodo", "apeach", "neo" };
	static String[] report = { "muzi frodo", "apeach frodo", "frodo neo", "muzi neo", "apeach muzi" };
	static int k =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user = id_list.length;
		boolean[][] log = new boolean[user][user];
		int[] count = new int[user];
		int[] answer = new int[user];
		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String, Integer>();

		for (int i = 0; i < id_list.length; i++) {
			map.put(id_list[i], i);
		}

		for (int i = 0; i < report.length;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report[i]);
			int reporter = map.get(st.nextToken());
			int target = map.get(st.nextToken());

			if (!log[reporter][target]) {
				log[reporter][target] = true;
				count[target]++;
			}
		}
		
		for(int i = 0; i < id_list.length; i++) {
			if(count[i] >= k) {
				for(int j = 0; j < id_list.length; j++) {
					if(log[j][i]) {
						answer[j]++;
					}
				}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
}

 

728x90

카운팅 소~트 밤 하늘의 퍼얼~ 

 

오늘은 여섯 번째 정렬 알고리즘이자, 시간 복잡도가 O(N+K)인 특이한 정렬 알고리즘.
계수정렬(Counting sor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의 범위를 전부 표현가능한 자료구조(배열,리스트 whatever)를 준비한다.
2. 데이터를 한 번 순회하면서 각 값의 갯수를 세어준다.
3. 알게 된 갯수만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면 정렬이 끝!

 

기존의 정렬들과는 달리 딱 한 번만 데이터를 순회하면 정렬이 완료됩니다.

그림과 함께 정렬의 순서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정렬 되기 전의 상태

1~5 범위의 데이터가 무작위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데이터를 전부 표현 가능한 5 사이즈의 배열을 준비했습니다.

정렬되지 않은 첫 데이터의 값은 3입니다.

값을 셀 배열에서 3의 값을 의미하는 위치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두번째 데이터의 값은 2입니다.

마찬가지로 배열에서 2의 위치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이런 방법으로 데이터를 한 번 순회하면...

위 처럼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가 몇개의 값으로 이루어진지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값의 갯수를 모두 확인했다!

이제 값을 센 결과를 통해 정렬된 데이터를 만들어 봅시다.

1의 값을 가진 데이터가 2개이니 2개를 출력(혹은 정렬 후의 배열에 저장)

2의 값을 가진 데이터의 갯수도 2개이니 똑같이 출력

같은 작업을 끝까지 해주면 짠! 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얻게 됩니다.

 

 

이해하기도 쉽고 구현도 쉽고 시간복잡도까지 빠른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하지만 계수정렬은 특정 상황에서만 유용하게 쓰입니다.

시간복잡도 O(N+K)에서 알 수 있듯, K값인 데이터의 범위에 따라 그 효율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00명이 100점 만점의 시험을 본 점수결과 데이터를 정렬한다고 해봅시다.

K값은 100이고 이 데이터를 정렬하는데엔 대략 200번의 연산이면 충분할겁니다.

 

반면 100명의 연봉 데이터를 정렬한다고 해봅시다.

100명중에 능력있는 프로그래머가 한 명 있어서 최댓값이 1억이라고 생각해보면 K값은 1억이 되고 이 데이터를 정렬하는데엔 약 1억번의 연산이 필요합니다!

범위가 1억이다!

같은 100개의 데이터를 정렬하는데 효율성이 엄청나게 차이가 나죠.

 

따라서 계수정렬은 특정 상황에서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정렬알고리즘입니다. 

아래는 간단하게 계수정렬을 구현한 JAVA코드 입니다.

디버깅 해보시며 정렬의 흐름을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sort_06_counting {
	static int size = 50;
	static int bound = 10;
	static int count = 0;
	// 데이터의 갯수와 범위 설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ta = new int[size];
		Random random = new Random();

		for (int i = 0; i < size; i++) {
			data[i] = random.nextInt(bound);
		}
		// 랜덤 값 넣어주기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 랜덤하게 들어간 데이터 확인

		//////////////// 계수정렬 구현코드는 하단으로 /////////////////
		countingSort(data, bound);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System.out.println("비교횟수 : " + count);
	}

	private static void countingSort(int[] data, int bound) {
		int[] countingsort = new int[bound + 1];
		int idx = 0;

		for (int i = 0; i < data.length; i++) {
			countingsort[data[i]]++;
			count++;
		}
		
		for (int i = 0; i < bound; i++) {
			count++;
			for(int j = 0; j < countingsort[i]; j++) {
				data[idx++] = i;
			}
		}

	}
}
728x90

오늘은 네 번째 정렬 알고리즘이자, 시간 복잡도가 O(NlogN)인 첫 번째 정렬 알고리즘.

병합정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들이 한 개씩 쪼개어질 때까지 주어진 데이터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작업을 반복한다.

2. 하나씩 쪼개어진 데이터는 정렬된 상태가 된다.

3. 정렬된 데이터들을 쪼갠 역순으로 병합하면서 정렬하면 정렬된 상태의 전체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처음 병합정렬의 설명을 말로만 들으면 머릿속으로 정렬 과정을 그리기 쉽지 않을 텐데요.

그림을 통해 실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면서 설명하고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렬 시작 전의 상태

언제나처럼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3, 5, 7, 4, 2, 6, 8, 1의 여덟 데이터를 정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데이터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하여, 하나씩 쪼개어줍니다.

이번 예시의 경우엔 데이터의 개수가 2^3인 8개이므로 3번의 단계를 거쳐서 쪼개어집니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쪼개어진 밑단의 데이터들은 자연스럽게 정렬된 상태가 됩니다!

(데이터가 하나이기 때문에 당연히 정렬된 상태입니다.)

병합의 첫번째 단계

이제 부분적으로 정렬된 데이터들을 병합하는 첫번째 단계가 시작됩니다.

각각 정렬된 상태인 3과 5를 비교하여 병합합니다.

(두 데이터 그룹이 부분적으로 정렬된 상태이기때문에 앞에서부터 읽어들이면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7과 4를 병합합니다.

병합의 첫번째 단계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 첫번째 병합이 완료되었습니다.

두번째 단계부턴 두개의 그룹이 병합되는 과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병합의 두번째 단계

우리는 이미 부분적으로 정렬된 3,5 그리고 4,7의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그룹이 이미 정렬된 상태기 때문에 전체를 탐색할 필요 없이 두 그룹의 가장 앞의 수를 보고 더 작은 수를 고르면 됩니다.

3과 4를 비교해 3을, 5와 4를 비교해 4를, 5와 7을 비교해 5, 마지막으로 남은 7을 골라줍니다.

자연스럽게 두개의 그룹이 정렬된 상태로 합쳐집니다.

그리고 두개의 그룹을 합칠 때 비교횟수는 전체 데이터의 갯수만큼이면 충분합니다!

(한 번의 비교에서 한개의 데이터가 골라집니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그룹도 병합을 진행시켜줍니다.

 

마지막 세번째 병합 단계

이제 마지막, 세번째 병합을 똑같이 진행해줍니다.

두개의 그룹이 각각 부분적으로 정렬된 상태이기 때문에 앞에서부터 비교해가면서 합쳐주면 됩니다.

 

정렬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 병합정렬을 통한 정렬이 완료되었습니다!

이건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실제 코드와 프로그램에선 재귀적으로 파고들어 가며 정렬이 진행되기 때문에 동작 흐름은 다릅니다.

 

병합정렬의 시간 복잡도가 왜 NlogN인지 간단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앞서 배운 정렬들에서 우리는 각 단계마다 비교를 N, N-1, N-2... 번씩 수행하였고 N^2번의 비교가 필요함을 알았습니다.

병합정렬의 경우에는 각 단계별로 N번의 비교가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이 단계는 N번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N의 Log2값을 취한 만큼 이루어집니다.

데이터가 2^10개인 1024개라고 생각해봅시다.

처음 분할 단계에서 데이터는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일을 10번 반복하여 1개씩 1024개로 쪼개집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들은 10번의 단계를 거쳐 정렬된 1024개의 데이터가 됩니다.

10 * 1024 = 10,240번의 비교를 통해 정렬이 완료되는 겁니다.

버블정렬의 경우 같은 데이터에 대해 523,776번의 비교가 필요한 걸 생각하면, 또 데이터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 차이가 더 커질 거란 걸 생각하면 NlogN정렬 알고리즘들이 더 효율적인걸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JAVA로 구현한 간단한 병합정렬 코드와 테스트입니다!

ArrayList 자료구조를 이용해 만들어봤는데요, 제가 적당히 작성한 코드라 실제 효율적인 부분에선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병합정렬의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정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것저것 바꿔보고 디버깅하면서 흐름이 이해되시길 바랍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sort_04_merge {
	static int size = 10;
	static int bound = 1000;
	static int count = 0;
	// 데이터의 갯수와 범위 설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Integer> data = new ArrayList<Integer>();
		Random random = new Random();

		for (int i = 0; i < size; i++) {
			data.add(random.nextInt(bound));
		}
		// 랜덤 값 넣어주기

		System.out.println(data.toString());
		// 랜덤하게 들어간 데이터 확인

		//////////////// 병합정렬 구현코드는 하단으로 /////////////////
		data = mergeSort(data);
		//////////////////////////////////////////////////////

		System.out.println(data.toString());
		System.out.println("비교횟수 : " + count);
	}

	private static ArrayList<Integer> mergeSort(ArrayList<Integer> list) {
		int size = list.size();
		ArrayList<Integer> mergeList = new ArrayList<>();

		if (size <= 1) {
			return list;
		} else {
			ArrayList<Integer> left = new ArrayList<>();
			ArrayList<Integer> righ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size / 2); i++) {
				left.add(list.get(i));
			}
			for (int i = (size / 2); i < size; i++) {
				right.add(list.get(i));
			}

			left = mergeSort(left);
			right = mergeSort(right);

			//System.out.println("left : " + left.toString());
			//System.out.println("right : " + right.toString());

			for (int i = 0, l = 0, r = 0; i < size; i++) {
				if (r == right.size() || (l != left.size() && left.get(l) <= right.get(r))) {
					mergeList.add(left.get(l));
					l++;
				} else {
					mergeList.add(right.get(r));
					r++;
				}
				count++;
			}
			//System.out.println("merge : " + mergeList.toString());
			return mergeList;
		}
	}
}
728x90

버블 정렬에 이어서 선택 정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택 정렬의 아이디어도 간단합니다.

1. 첫 번째 데이터부터 탐색해 가장 작은 수를 찾아 첫 번째 위치로 옮긴다. (오름, 내림차순에 따라 다릅니다.)

2. 이제 첫 번째 위치는 정렬되었으니, 두 번째 데이터부터 탐색한다.

3. 정렬이 완료될때까지 계속 반복한다!

 

선택 정렬도 한 번 비교가 이루어질 때마다 데이터가 1개씩 정렬되므로 N-1, N-2, N-3 ... 2, 1 번 비교를 해야 합니다.

전체적인 비교의 횟수는 (N*(N-1))/2가 되고, 시간 복잡도는 O(N^2)와 같이 나타냅니다.

다만, 매 번 데이터의 교체가 필요한 버블정렬과 달리 선택 정렬은 위치를 찾은 뒤 마지막에 한 번만 교체하면 되니 버블 정렬보다는 빠르게 정렬이 이루어집니다.

대신 선택정렬의 경우는 stable하지 않은 불안정 정렬인데, 이 내용은 차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그림을 통해 선택 정렬의 진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렬 시작 전의 상태

그림에선 8칸의 배열에 각각 3,2,5,7,6,8,1,4의 값이 들어있습니다.

이제 이 배열을 선택 정렬을 통해 정렬해 보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찾아야 할 데이터의 위치는 첫 번째, 즉 가장 작은 수를 찾아야 합니다.

반복 시행의 첫 시점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는 현 위치뿐이므로 가장 작은 수는 3이고 이 수의 위치는 0번 인덱스입니다.

다음 수로 진행하면서 전체를 탐색해 가장 작은 수를 찾아봅시다.

두번째 위치에서 min값이 갱신되면서 인덱스도 1번으로 바뀝니다.
세번째 수인 5는 2보다 크므로 갱신되지 않습니다.

뒤의 수인 7,6,8도 2보다 크므로 계속 진행되다가 일곱번째 수인 1에서 최솟값이 갱신됩니다.

모든 수를 탐색했습니다!

이제 첫번째 시행이 끝났습니다!

우리가 찾는 수는 첫 번째 위치에 올 수, 가장 작은 수이며 그 수의 위치는 6번째 인덱스입니다.

이제 0번과 6번 인덱스의 수를 바꿉니다.

첫 번째 수의 정렬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두 번째 자리에 위치할 수, 즉 일곱 개의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찾으려 합니다.

두번째 시행의 스타트!

시행을 마쳤습니다!

두 번째 위치, 인덱스 1에 들어있는 2가 현재 정렬되지 않은 가장 작은 수였습니다.

교환은 일어나지 않고, 우리는 두 개의 수를 정렬시켰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세 번째 시행도 진행시켜 봅시다.

6번째 인덱스에서 정렬되지 않은 최솟값, 3을 찾았습니다.
우리가 찾고있던 세번째 위치와 바꿔줍니다.

이로서 우리는 1,2,3 세 개의 수를 정렬시켰습니다.

앞으로 5번의 시행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면 되지만 과정을 기록하지 않겠습니다.

머릿속으로 테스트를 해보시고 정렬 후의 모습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4번째 시행 후
5번째 시행 후
6번째 시행 후
7번째 시행 후
8번째 시행 후

이렇게 선택 정렬을 통한 정렬이 완료되었습니다!

 

 

아래는 JAVA로 구현한 간단한 선택정렬 코드와 테스트입니다!

이것저것 바꿔보고 디버깅하면서 흐름이 이해되시길 바랍니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sort_02_selection {
	static int size = 10;
	static int bound = 1000;
	// 데이터의 갯수와 범위 설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ta = new int[size];
		Random random = new Random();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size; i++) {
			data[i] = random.nextInt(bound);
		}
		// 랜덤 값 넣어주기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 랜덤하게 들어간 데이터 확인

		/////////////////////// 선택정렬 구현////////////////////////////
		for (int find = 0; find < size; find++) {
			int minIdx = find;
			for (int now = find; now < size; now++) {
				if(data[now] < data[minIdx]) {
					minIdx = now;
				}
				count++;
			}
			int save = data[find];
			data[find] = data[minIdx];
			data[minIdx] = save;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System.out.println("비교횟수 : " + count);
		// 정렬 후 데이터와 비교횟수 확인

		int[][] data2 = { { 1, 1 }, { 3, 1 }, { 5, 1 }, { 7, 1 }, { 9, 1 }, { 1, 2 }, { 2, 2 }, { 4, 2 }, { 1, 3 },
				{ 7, 2 }, { 9, 3 }, { 3, 3 }, { 4, 3 }, { 8, 3 }, { 6, 3 } };
		
		for (int find = 0; find < 15; find++) {
			int minIdx = find;
			for (int now = find; now < 15; now++) {
				if(data2[now][0] < data2[minIdx][0]) {
					minIdx = now;
				}
				count++;
			}
			int[] save = data2[find].clone();
			data2[find] = data2[minIdx].clone();
			data2[minIdx] = save.clone();
		}

		for (int i = 0; i < 15; i++) {
			System.out.printf("정렬된 수 : %d, stable: %d\n", data2[i][0], data2[i][1]);
		}
		// stable 정렬이 아님!
	}
}
728x90

알고리즘 공부를 하며 배운 여러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정렬 알고리즘들은 기본적인 알고리즘이자 정말 많이 활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보통 언어의 기본 라이브러리 안에서 구현이 되어있어 호출로 간단히 사용할 수 있지만 직접 구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를 알아야 다른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정렬 중에서도 가장 쉽게 구현 가능한 버블정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블정렬의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1. N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N-1번의 비교를 통해 가장 뒤에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위치할 데이터를 알아내자. 

2. 이제 하나의 데이터는 자기 자리에 있으니 나머지 N-1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비교를 해보자.

3. 정렬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반복하자!

 

그럼 한 번 비교가 이루어질때마다 1개씩 정렬되므로 N-1, N-2, N-3 ... 2,1 번 비교를 해야 합니다.

전체적인 비교의 횟수는 (N*(N-1))/2가 되는데, 시간 복잡도를 말할 때는 보통 작은 차수나 계수를 지우고 표현하기 때문에 O(N^2)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시간 복잡도가 2N인 프로그램과 3N인 프로그램, N^2번인 프로그램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데이터의 개수 N이 5개이고 하나를 처리할 때 1초가 걸린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프로그램은 실행되는데 10초, 15초, 25초가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보면 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해 보이지만 보통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개수는 적게는 수백 개에서 수십억 개까지 늘어납니다.
1만 개의 데이터를 처리한다고 생각해봐도 첫 번째 프로그램은 2만 초로 실행에 대략 5시간이 걸리고 두 번째 프로그램은 3만 초, 약 8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세 번째 프로그램은 2만 7천 시간, 1157일이 필요합니다. 
자잘한 계수의 비교는 크게 의미가 없는 것이죠.

그림을 통해 버블 정렬의 진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렬 시작 전의 상태

그림에선 8칸짜리 배열에 8,5,3,2,1,6,4,7의 값이 들어 있습니다.

버블정렬을 통해 이 배열의 데이터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데이터부터 차근차근 비교해봅시다.

8개의 데이터가 있으므로 첫 반복에서 우리는 N-1번, 즉 7번의 비교를 해야 합니다. 

지금 보고 있는 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를 비교해 더 크다면 위치를 바꿔줍니다.

첫 번째 데이터인 8이 두번째 데이터인 5보다 크기 때문에 8과 5의 위치를 바꿔줍시다.

 

 

8과 3을 비교해 크다면 위치를 바꿉니다

이제 5와 8의 위치가 바뀌어 8이 두번째 데이터가 되었습니다.

두번째 데이터인 8과 다음 데이터 3을 비교해 더 크다면 둘의 위치를 바꿔줍시다.

8이 정렬된 모습

같은 방식으로 계속 비교를 해주고 위치를 바꿔주었더니 8이 가장 뒤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시행에서 우리는 N번째로 큰 수를 찾아서 N번 위치에 놓았습니다.

이로서 하나의 데이터가 자기 위치를 찾아 정렬되었고, N-1개의 정렬할 데이터가 남았습니다.

 

8은 이미 정렬되었으므로 5,3,2,1,6,4,7의 7개 데이터를 정렬해봅시다.

방법은 위와 똑같이 지금 보고 있는 수가 다음 수보다 크다면 자리를 바꿔줍니다.

 

지금 보는 수보다 다음 수가 크다면 바꾸지 않는다

비교를 진행하다 보니, 뒤의 수가 더 큰 경우가 나왔습니다.

지금 보고 있는 수 5보다 다음 수 6이 크다면 둘의 위치를 바꿔주지 않습니다.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면, 다음 비교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5보다 더 큰 수인 6을 기준으로 비교를 하게 됩니다.

5를 대신해 6이 자기보다 큰 수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해서 위치를 바꾸게 됩니다.

마지막 비교에서 6보다 7이 크므로 둘의 위치는 바뀌지 않습니다.

이로서 두 번째 시행의 시작인 5,3,2,1,6,4,7중 가장 큰 수인 7을 찾았고 자신의 위치인 7번 자리에 7이 위치하게 됩니다.

이제 두 개의 수가 정렬되었고 우리는 N-2개의 수를 대상으로 다시 비교를 시작합니다.

이다음 시행은 과정을 기록하지 않겠습니다.

머릿속으로 테스트를 해보시고 정렬 후의 모습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세번째 시행 후!
네번째 시행 후!

네 번째 시행이 끝나고 나서 우리 눈으로 보기엔 정렬된 데이터가 완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의 입장에선, 5 6 7 8 네 개의 데이터만 정렬되었다고 인식하므로 1,2,3,4에 대해서도 같은 시행을 반복하게 됩니다.

 

 

아래에는 JAVA로 구현한 간단한 버블정렬 코드와 테스트입니다!

이것저것 바꿔보고 디버깅하면서 흐름이 이해되시길 바랍니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01_sort_01_bubble {
	static int size = 100;
	static int bound = 1000;
	// 데이터의 갯수와 범위 설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ta = new int[size];
		Random random = new Random();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size; i++) {
			data[i] = random.nextInt(bound);
		}
		// 랜덤 값 넣어주기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 랜덤하게 들어간 데이터 확인

		/////////////////////// 버블정렬 구현////////////////////////////
		for (int find = size - 1; find >= 0; find--) {
			for (int now = 0; now < find; now++) {
				int next = now + 1;
				if (data[now] > data[next]) {
					int save = data[now];
					data[now] = data[next];
					data[next] = save;
				}
				count++;
			}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data));
		System.out.println("비교횟수 : " + count);
		// 정렬 후 데이터와 비교횟수 확인

		int[][] data2 = { { 1, 1 }, { 3, 1 }, { 5, 1 }, { 7, 1 }, { 9, 1 }, { 1, 2 }, { 2, 2 }, { 4, 2 }, { 1, 3 },
				{ 7, 2 }, { 9, 3 }, { 3, 3 }, { 4, 3 }, { 8, 3 }, { 6, 3 } };
		for (int find = 14; find >= 0; find--) {
			for (int now = 0; now < find; now++) {
				int next = now + 1;
				if (data2[now][0] > data2[next][0]) {
					int[] save = data2[now].clone();
					data2[now] = data2[next].clone();
					data2[next] = save.clone();
				}
			}
		}

		for (int i = 0; i < 15; i++) {
			System.out.printf("정렬된 수 : %d, stable: %d\n", data2[i][0], data2[i][1]);
		}
		//stable 정렬임!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