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OSI 7계층
네트워크 관련 지식인 OSI 7계층을 알고 있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물리계층 Physical Layer |
bit 단위 | 실제로 장치들이 연결되기 위한 전기적, 전자적 세부사항을 정의하는 계층. 디지털 데이터 -> 전기신호로 변환. 주소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Hub, Repeater |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Frame 단위 | 인접한 노드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MAC 주소를 통해 목적지 탐색. 흐름제어, 오류제어, 회선제어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Packet(패킷) 단위 |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 때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이 이루어짐. 논리적인 IP주소를 가짐 IP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이 사용됨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Segment 단위 |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주고받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 연결의 유효성과 효율성을 관리. TCP, UDP 프로토콜등이 사용됨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Message, Data 단위 |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인코딩/디코딩, 압축/해제, 암호화/복호화 등 코드간의 번역을 담당해 응용 계층의 부담을 덜어줌 |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제공 HTTP 프로토콜 |
헷갈릴만한 개념으로는 TCP/IP 5계층이 있습니다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응용)
12. LoC기법
Line of Code
코드 라인수의 낙관치, 기대치, 비관치로 예측치를 구하고 이것으로 프로그램 개발 시간을 예측하는 기법.
예측치 : (낙관치 + 4 * 기대치 + 비관치) / 6
예시 ) 프로그램의 예측된 라인수가 10000라인이고 프로그래머가 일 평균 100라인을 작성하고 프로그래머가 5명일때 개발 기간은 10000/(100*5) = 20일
13. 애플리케이션 성능측정
성능테스트(목적에 따른 구분)
단위 성능 테스트 | 특정 기능별로 수행하는 테스트 |
복합 성능 테스트 | 실제 사용자의 패턴을 적용하는 테스트 |
임계 성능 테스트 | 시스템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 성능을 테스트 |
성능테스트(방법에 따른 구분)
스파이크 테스트 | 트랜잭션을 동시에 발생시켜 테스트 |
확장성 테스트 | 물리적인 시스템의 증설과 향상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는 테스트 |
가용성 테스트 | 특정한 부하 상태에서 시스템의 안전성을 테스트 |
성능지표
전체 사용자 |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 |
동시 사용자 | 특정 시점에 시스템에 접속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
부하 | 사용자가 시스템에 요청하는 처리량 |
응답시간 | 사용자가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한 후 그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 |
처리량 | 단위 시간당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되는 건 수. |
경과시간 | 서비스에 작업을 요청한 시간부터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14. 소프트웨어 모듈화
시스템의 계층을 나누고 기능별로 분해하여 성능, 유지보수성, 재사용성 등을 향상시키는 설계기법.
모듈화의 목표 -> 결합도를 낮추고 모듈 내 응집도를 높이는 것.
응집도 : 모듈의 내부기능이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가.
결합도 : 모듈간 얼마나 구분이 되어 있는가.
15.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 반정규화
정규화 :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아 무결성을 유지. 삽입,갱신 등에서 이상(Anomaly)을 방지하는 것.
반정규화 :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을 위해 의도적으로 정규화에 어긋난 데이터 구조로 만드는 행위
테이블 합병, 중복칼럼 추가, 계산된 칼럼 추가 등등
16. 공유도(팬인 Fan-In) 제어도(팬아웃 Fan-Out)
공유도(팬인 Fan-In) : 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모듈의 갯수
제어도(팬아웃 Fan-Out) : 제어할 수 있는 다른 모듈의 갯수
17. C언어
c언어 반복문
18. C언어 CASE 문
case 조건문에서 break; 구문이 없을시의 특징을 묻는 문제입니다.
19. JAVA
java 반복문
20. SQL
기본적인 SQL 쿼리문을 이해하는지 묻는 문제이다. SQL 쿼리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잡동사니 > 독후감&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n Code 클린 코드] 1장. 깨끗한 코드 (0) | 2022.07.11 |
---|---|
2022 정기 기사 1회차 (정보처리기사) 합격 (0) | 2022.06.30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0 2회 11~20 (0) | 2022.05.06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0 2회 1~10 (0) | 2022.05.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0 1회 1~10 (0)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