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git이 설치되어야겠죠?
자신의 OS와 개발환경에 맞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환경변수나 추가적인 조정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기본적인 git의 개념과 사용법을 아신다고 생각하고,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외울정도로 자주 사용한 커맨드만 작성해봤습니다.
아래는 VScode에서 git을 사용할 때 유용한 extension입니다.
git clone (git repo의 HTTPS 주소, 혹은 SSH)
-----> 지금 vscode 터미널이 위치한 폴더에 repo를 복제해옵니다.
다른 옵션을 안줬을 경우 기본 branch가 복제됩니다.
git remote update
-----> git 서버의 저장소의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git pull
-----> git 서버 저장소에서 현재 branch의 최신 상태를 가져옵니다.
git push
-----> 내 로컬 저장소에 있는 현재 branch를 서버에 update하거나 publish 합니다.
git branch
-----> 내 로컬 git에 있는 branch의 리스트를 띄웁니다.
git branch -a
-----> git 서버에 있는 branch의 리스트를 띄웁니다.
VIM처럼 [esc] + ':' + 'q' 세개의 키를 차례로 입력해 나옵니다. (이에스시, 콜론, 알파벳 큐)
git branch (새로운 branch명)
-----> 내 로컬 저장소에 입력한 이름으로 branch를 만듭니다.
git checkout origin/(branch명)
-----> git 서버에 있는 branch를 내 로컬 git으로 가져오면서 그 branch를 선택합니다.
git branch -D (branch명)
-----> 내 로컬 저장소에서 해당하는 branch를 지웁니다.
git merge (branch명)
-----> 현재 보고 있는 branch에 입력한 branch를 병합합니다.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X)
프론트개발자 노딩코 씨가 서버에 존재하는 프로젝트 A를 작업하려고 하는 사용 예
git clone (project-A의 clone 주소)
-----> 서버의 프로젝트를 내 로컬로 받아옵니다.
git checkout origin/develop
-----> 보통 기본 branch는 master나 default입니다.
작업을 위해 develop branch를 로컬로 가져오면서 branch를 변경합니다.
git branch feat/frontend-nodingco
-----> develop branch의 현재 상태를 복제해 내가 작업할 branch를 만듭니다.
git checkout feat/frontend-nodingco
-----> 작업할 branch로 변경합니다.
<branch의 생성 후 작업이 진행 되었습니다... 내 작업을 업로드해봅시다!>
git remote update
-----> 서버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update
git checkout develop
-----> 내 작업을 업로드할 develop branch로 변경합니다.
git pull
-----> 서버저장소에서 develop branch의 최신 상태를 가져옵니다.
git checkout feat/frontend-nodingco
-----> 작업한 branch로 변경합니다.
git merge develop
-----> 최신상태의 develop branch를 내가 작업한 내용에 merge합니다.
충돌이 일어난다면 VScode에서 알려주는 내용을 토대로 적절히 수정하면 됩니다.
git push
-----> 내가 작업한 branch를 서버저장소에 업로드합니다.
보통 develop이나 master같은 배포에 관련된 branch는 보호되어있으므로,
서버 저장소에서 merge request를 통해 code review를 받고 변경된 내용을 merge하게 됩니다.
'잡동사니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에러 : fatal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해결방법 (0) | 2021.1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