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Ae7XSKfUUDFAUw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주어진 조건에 맞게 양팔저울에 추를 올리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Java의 경우에는 모든 경우에 대해 순열을 구하고 그 순열이 조건에 적합한지 검증을 하면서 가지치기를 해도 주어진 실행시간 안에 통과가 되지만, 조금 더 효율적으로 코드를 짤 수 있는 방법들이 있어 3가지를 전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모든 순열을 만들고, 이후 조건에 맞는 경우를 찾는 코드입니다.

시간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좌측의 무게가 절반을 넘어서는 경우 이후의 경우는 검증하지 않고 2^(N-현재 단계)만큼 더해주었습니다.

더보기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3234_SWEA_준환이의양팔저울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answer, total;
	static Integer[] gr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c = 1; tc <= T; tc++)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answer = 0;
			total = 0;
			gram = new Integer[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n = 0; n < N; n++) {
				gram[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total += gram[n];
			}
			total /= 2;

			makePermutation(0, new int[N], new boolean[N]);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answer).append("\n");
		}

		System.out.println(sb);
	}

	static void makePermutation(int count, int[] choosed, boolean[] visited) {
		if (count == N) {
			check(1, choosed, choosed[0], 0);
			return;
		}
		for (int i = 0; i < N; i++) {
			if (!visited[i]) {
				visited[i] = true;
				choosed[count] = gram[i];
				makePermutation(count + 1, choosed, visited);
				visited[i] = false;
			}
		}
	}

	static void check(int count, int[] choosed, int left, int right) {
		if (count == N) {
			answer++;
			return;
		}
		if (total < left) {
			int num = 1;
			for (int i = 0; i < N - count; i++) {
				num *= 2;
			}
			answer += num;
			return;
		}

		if (left >= right + choosed[count]) {

			check(count + 1, choosed, left, right + choosed[count]);
		}
		check(count + 1, choosed, left + choosed[count], right);

	}
}

 

두 번째론 모든 순열을 만들지 않고, 순열을 만드는 과정 안에 조건에 따른 검증을 넣어서 가지치기한 코드입니다.

마찬가지로 시간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좌측의 무게가 절반을 넘어서는 경우 이후의 경우는 검증하지 않고, (N-현재 단계)! * 2^(N-현재 단계)만큼 더해주었습니다.

순열이 다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경우의 수를 계산할 때 남은 추의 개수 팩토리얼까지 곱해주어야 합니다.

더보기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3234_SWEA_준환이의양팔저울Re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answer, total;
	static Integer[] gr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c = 1; tc <= T; tc++)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answer = 0;
			total = 0;
			gram = new Integer[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n = 0; n < N; n++) {
				gram[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total += gram[n];
			}
			total /= 2;

			makePermutation(0, new boolean[N], 0, 0);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answer).append("\n");
		}

		System.out.println(sb);
	}

	static void makePermutation(int count, boolean[] visited, int left, int right) {
		// System.out.println(count + "선택됨," + left + " : " + right);

		if (count == N) {
			answer++;
			return;
		}

		if (total < left) {
			int num = 1;
			for (int i = 1; i <= N - count; i++) {
				num *= 2;
				num *= i;
			}
			answer += num;
			return;
		}

		for (int i = 0; i < N; i++) {
			if (!visited[i]) {
				visited[i] = true;
				makePermutation(count + 1, visited, left + gram[i], right);
				if (right + gram[i] <= left) {
					makePermutation(count + 1, visited, left, right + gram[i]);
				}
				visited[i] = false;
			}
		}
	}
}

 

세 번째로 메모이제이션을 활용해서 이미 탐색한 경우를 스킵한 코드입니다.

어떤 방법으로든 추의 위치 배정이 똑같은 시점이 오면 이후의 경우의 수의 개수는 같아집니다.

예를 들어 1,2,8,... 의 무게를 가진 추가 주어졌을때, 8(좌) → 1(우) → 2(우) 경우나 8(좌) → 2(우) → 1(우) 경우나 추의 현재 상태는 같습니다.

추의 상태가 같으면 이후 가능한 경우의 수도 같아집니다.

추의 상태를 사용한 추 (갯수가 작기 때문에 비트 마스킹으로 기록), 좌측에 놓인 무게로 저장하고 이전에 탐색한 적이 있다면 더 탐색을 하지 않고 그 값을 사용하는 코드입니다.

더보기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3234_SWEA_준환이의양팔저울Re2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total;
	static int[] gram;
	static int[][] memo;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c = 1; tc <= T; tc++) {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total = 0;
			gram = new int[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n = 0; n < N; n++) {
				gram[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total += gram[n];
			}

			memo = new int[total + 1][1 << N];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makePermutation(0, 0, 0, 0)).append("\n");
		}

		System.out.println(sb);
	}

	static int makePermutation(int count, int bitmask, int left, int right) {
		if (count == N) {
			return 1;
		}

		int sum = memo[left][bitmask];

		if (sum == 0) {
			for (int i = 0; i < N; i++) {
				if ((bitmask & (1 << i)) == 0) {
					sum += makePermutation(count + 1, bitmask | (1 << i), left + gram[i], right);
					if (right + gram[i] <= left) {
						sum += makePermutation(count + 1, bitmask | (1 << i), left, right + gram[i]);
					}
				}
			}
			return memo[left][bitmask] = sum;
		}
		return sum;
	}
}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메모이제이션 → 순열구하면서 가지치기 → 순열 구하고 가지치기 코드의 실행결과입니다.

여러가지로 생각할 거리가 많은 좋은 문제였습니다.

728x90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qUzj0arpkDFARG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문제 자체는 기본적인 DFS 백트래킹을 사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가지치기에 따라 실행시간이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생각해보면 문제에서 주어진 테스트케이스의 조건에서, R과 C의 크기가 1 이상 20 이하입니다.

즉 최대 400칸의 맵이 주어지는 건데 알파벳의 개수는 26개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통해 자르지 않는 경우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추가 탐색이 실행될 걸 알 수 있습니다.

 

가지치기의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가능한 최대값을 이미 정답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 answer = 26인 경우 더이상의 탐색을 하지않고 재귀를 끝내면 됩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7699_SWEA_수지의수지맞는여행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R, C, answer;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
	static int[][] delta = { { -1, 0 }, { 1, 0 }, { 0, -1 }, { 0, 1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c = 1; tc <= T; tc++) {
			answer = 0;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int[R][C];
			visit = new boolean[26];

			for (int r = 0; r < R; r++) {
				String input = br.readLine();
				for (int c = 0; c < C; c++) {
					map[r][c] = input.charAt(c) - 'A';
				}
			}
			visit[map[0][0]] = true;
			dfs(0, 0, 1);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answer).append("\n");
		}

		System.out.println(sb);
	}

	static void dfs(int x, int y, int count) {
		if (answer == 26) {
			return;
		}
		answer = Math.max(answer, count);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x + delta[i][0];
			int nY = y + delta[i][1];

			if (isIn(nX, nY)) {
				if (!visit[map[nX][nY]]) {
					visit[map[nX][nY]] = true;
					dfs(nX, nY, count + 1);
					visit[map[nX][nY]] = false;
				}
			}
		}
	}

	static boolean isIn(int x, int y) {
		if (0 <= x && x < R && 0 <= y && y < C)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728x90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yNQrCahHcDFAVP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8458. 원점으로 집합과 비슷한 문제입니다.

상하좌우로 N칸을 움직여서 원하는 목적지로 가면 되지만 (상,하)와 (좌,우)를 연속으로 움직일 수 없고 번갈아가면서 움직여야합니다.

 

8458번과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내 위치와 목적지의 X좌표, Y좌표의 거리(절댓값)가 홀짝이 같은지에 따라 정답이 나뉩니다.

 

예를들어 내 위치가 (0,0)이고 목적지가 (2,4)처럼 X Y좌표 모두 짝수거리만큼 떨어져있다면,

상우상우로움직여 (2,2)위치로 이동하고,상 두번을 움직이기 위해 상 좌 상 우 이런식으로 좌우 움직임을 상쇄해서 도착하면 됩니다.

홀수의 경우에도 더 작은 거리를 0으로 만들만큼 움직이면, 남은 짝수 거리를 같은 방법으로 상쇄하여 도착합니다.

즉, X Y 거리가 모두 짝수거나 모두 홀수면 (둘 중 더 먼 거리 * 2배) 만큼 움직여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둘의 홀짝이 다르면 어떨까요?

내 위치가 (0,0)이고 목적지가 (2,3)이라면

상우상우로 움직여 (2,2)에 도착하고 바로 상으로 움직여 5번만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우상우상으로 움직이면 도착을 못합니다)

이때는 (둘 중 더 먼 거리 * 2배) - 1 만큼 움직여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8382_SWEA_방향전환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nswer;

		for (int tc = 1; tc <= T; tc++)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a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x = Math.abs(aX - bX);
			int y = Math.abs(aY - bY);

			answer = Math.abs(x - y) % 2 == 0 ? 2 * Math.max(x, y) : 2 * Math.max(x, y) - 1;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answer).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728x90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zaq5KKk_ADFAVU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설명이 살짝 부족한 문제여서 혼동의 여지가 많습니다.)

 

원점에서 각기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점들은 1... N칸씩 움직여서 모두가 원점에 도착하게 하는 게 목표입니다.

이때 N칸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나누어 움직일 수 있습니다.

(N이 3칸일때 상상좌 상하상 이런 식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단, 자기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 건 안됩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원점에 먼저 도착한 점들은 원점에서 진동하듯 좌우로 움직이기만해도 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N=3일때 원점에 도착한 점 A는 다음 N=4의 움직임에서 좌우좌우로 움직이면 그대로 원점입니다.

다만 이후 N=5일때 움직이면 어떻게 움직이던지 원점에서 한 칸 이상 나가게 됩니다.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우리는 홀짝을 이용해 점들이 원점에 모두 모일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홀수거나 모두 짝수면 어떤 N일 때 확실하게 원점으로 모일 수 있으나, 거리가 홀수와 짝수가 섞여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도 동시에 원점에 멈추는 게 불가능합니다.

 

점 A가 원점에서 한 칸, B가 두 칸 떨어진 테스트케이스가 있다고 해봅시다.

처음 N=1일때 점 A는 원점으로 들어갑니다. 점 B는 원점으로 향하지만 한 칸 떨어진 위치에 멈춥니다.

다음 N=2일때 점 A는 좌우로 움직여 그대로 원점에 남습니다. 점 B는 원점을 지나 다시 한 칸 떨어집니다.

N=3일땐 반대로 점 B가 원점에 들어가고 좌우로 움직여 원점에 남습니다. 하지만 점 A가 원점에서 나가게 됩니다.

어떤 방법으로도 점 A와 B가 둘 다 원점에 들어가게 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해결할 수 없는 경우를 걸러내고, 이제 몇 칸을 움직여야 원점에 들어갈 수 있는지를 계산해봅시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원점에 먼저 도착한 점들은 원점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대기하면 됩니다.

즉 우리는 원점에서 가장 멀리있는 점만 생각하면 됩니다. 

 

가장 멀리있는 점이 원점으로 도착했을때도 분기가 나뉩니다.

 

예를들어 가장 멀리있던 점이 8칸 떨어져 있었다고 생각해봅시다.

N=1, N=2, N=3을 지나며 다른 점들은 원점에 도달해 왕복운동을 하며 대기합니다.

N=4일때 가장 멀리있던 점이 원점에 도착합니다. 하지만 두번의 움직임이 남습니다.

 

이 남은 움직임이 짝수라면, 먼저 도착한 점들과 같이 왕복운동을 해 소모하면 됩니다.

홀수라면, 다음 기회를 노려야합니다. 즉, 다시 한 번 홀수번 움직여 원점에 맞춰야합니다.

 

정리하면 

1. 점들이 모두 홀수거나 모두 짝수여야 원점에 모이는게 가능하다.

2. 가장 먼 점에서부터 N을 늘려가며 거리를 줄인다.

3. 가장 먼 점이 원점에 도착했을때, 남은 횟수가 짝수라면 바로 종료, 홀수라면 홀수번 움직여야 종료된다.

(원점에 도착했을때의 움직임이 짝수였다면 다음 홀수번으로, 원점에 도착했을때의 움직임이 홀수였다면 짝수,홀수번 2번의 움직임을 더 해야 종료할 수 있습니다.)

 

 

설명도 조금 미흡했고 이해하기도 어려웠던 원점으로집함 문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8458_SWEA_원점으로집합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c = 1; tc <= T; tc++) {
			int answer = 0;
			boolean flag = false;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long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ong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ong odd = (Math.abs(X) + Math.abs(Y)) % 2;
			long gap = Math.max(0, Math.abs(X) + Math.abs(Y));

			for (int n = 1; n < N; n++)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 ((Math.abs(X) + Math.abs(Y)) % 2 != odd) {
					flag = true;
				}

				gap = Math.max(gap, Math.abs(X) + Math.abs(Y));
			}

			if (flag) {
				sb.append("#").append(tc).append(" -1").append("\n");
			} else {

				while (gap > 0) {
					answer++;
					gap -= answer;
				}
				answer = gap % 2 == 0 ? answer : (answer % 2 == 0 ? answer + 1 : answer + 2);

				sb.append("#").append(tc).append(" ").append(answer).append("\n");
			}
		}

		System.out.println(sb);
	}
}

 

728x90

2NF(Second Normal Form) 정규형

2NF 정규형을 만족하려면 릴레이션에서 부분적 함수 종속이 사라지고 완전 함수 종속이 되어야 합니다.

함수 종속성에 대해서는 이전에 정리했으니 릴레이션으로 예시를 들며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종속성에서 예를 들었던 아래와 같은 릴레이션이 있습니다.

과목번호 수업번호 과목명 강의실
S100 C100 데이터베이스 강의관 101
S100 C101 데이터베이스 강의관 102
S101 C102 자료구조 강의관 201
S102 C103 운영체제 강의관 202

이 릴레이션의 기본키는 수업번호입니다.

하지만 과목명은 과목번호에 종속되어 있습니다. 과목번호가 당연히 기본키가 아니기 때문에 이는 부분적 함수 종속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함수종속성의 설명에서 보았듯 이런 종속성 때문에 튜플의 삽입, 삭제, 갱신에서 이상현상이 발생합니다.

수업이 사라지면 과목의 정보가 사라지기도 하고, 과목명이 바뀌면 해당하는 모든 튜플을 전부 갱신해주어야 합니다.

 

2NF 정규형을 만족하도록 부분 종속성을 가지는 과목번호와 과목명을 따로 빼어 릴레이션을 나누면

수업번호 과목번호 강의실
C100 S100 강의관 101
C101 S100 강의관 102
C102 S101 강의관 201
C103 S102 강의관 202

 

과목번호 과목명
S100 데이터베이스
S101 자료구조
S102 운영체제

DB를 조작함에서 이상현상이 사라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3NF 정규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XZuaLsqz9wDFAST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어떤 점이 원 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묻는 문제입니다.

입력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점수를 계산하고, 점수의 누적합을 리턴하면 됩니다.

표적판의 원들은 전부 동심원(중심이 같음)이기 때문에 (0,0) 점을 기준으로 화살이 꽂힌 위치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보다 작으면 그 원 안에 들어있는 상태입니다. 

if문을 통해 바깥쪽부터 범위를 좁혀가며 해당하는 점수를 찾았고 굳이 제곱근을 씌워 계산하지 않고 제곱을 한 채로 풀어주었습니다.

1년도 더 전에 풀었던 코드라서 새롭게 짜 보았는데 실행시간이나 메모리면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았습니다. 

 

예전 코드를 보면 무슨 생각으로 짰나 싶은 부분이 많네요. 비교해보시라고 둘 다 첨부합니다.

더보기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q11285_SWEA_다트게임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 TC, sum; 
		long x, y;
		T = sc.nextInt();

		for (int testcase = 1; testcase < T + 1; testcase++) {
			TC = sc.nextInt();
			sum = 0;

			for (int i = 0; i < TC; i++) {
				x = sc.nextInt();
				y = sc.nextInt();
				
				if (40000 < x * x + y * y)
					sum += 0;

				else if (32400 < x * x + y * y)
					sum += 1;

				else if (25600 < x * x + y * y)
					sum += 2;

				else if (19600 < x * x + y * y)
					sum += 3;

				else if (14400 < x * x + y * y)
					sum += 4;

				else if (10000 < x * x + y * y)
					sum += 5;

				else if (6400 < x * x + y * y)
					sum += 6;

				else if (3600 < x * x + y * y)
					sum += 7;

				else if (1600 < x * x + y * y)
					sum += 8;

				else if (400 < x * x + y * y)
					sum += 9;

				else
					sum += 10;
			}
			
			System.out.println("#" + testcase + " " + sum);
		}
	}
}

 

더보기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q11285_SWEA_다트게임Re {
	static StringTokenizer st;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TC, sum, x, y;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t = 1; t < T + 1; t++) {
			TC = Integer.parseInt(br.readLine());
			sum = 0;

			for (int tc = 0; tc < TC; tc++)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far = (x * x) + (y * y);

				if (40000 < far)
					sum += 0;

				else if (32400 < far)
					sum += 1;

				else if (25600 < far)
					sum += 2;

				else if (19600 < far)
					sum += 3;

				else if (14400 < far)
					sum += 4;

				else if (10000 < far)
					sum += 5;

				else if (6400 < far)
					sum += 6;

				else if (3600 < far)
					sum += 7;

				else if (1600 < far)
					sum += 8;

				else if (400 < far)
					sum += 9;

				else
					sum += 10;
			}

			sb.append("#").append(t).append(" ").append(sum).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728x90

정규형에는 1부터 5까지의 정규형(Normal Form)과 BCNF(Boyce and Codd Normal Form)가 있습니다.

4NF와 5NF는 간단히 개념만 설명하고 나머지 4개의 정규형을 정규화과정의 예시를 들어 하나씩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NF (First Normal Form) 정규형

1NF정규형이 되려면 도메인이 원자값만 가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규화가 되지 않은 아래와 같은 릴레이션이 있습니다.

수강자 어트리뷰트에 학생들의 이름이 여러개 들어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과목번호 과목명 수강자 강의실
S100 자료구조 김땡땡,최땡땡,박땡땡 107호
S101 알고리즘 김땡땡,이땡땡 104호
S102 데이터베이스 정땡땡,황땡땡 102호

그런데 김땡땡씨가 조기졸업을 해서 수강자에서 지워져야 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김땡땡 씨가 있는 튜플을 지우면 다른 수강자들의 정보까지 지워지며 이상현상이 발생합니다.

(과목의 정보도 사라지지만 이건 다음 정규화에서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1NF를 만족시키게 릴레이션을 바꿔 보겠습니다.

과목번호 과목명 수강자 강의실
S100 자료구조 김땡땡 107호
S100 자료구조 최땡땡 107호
S100 자료구조 박땡땡 107호
S101 알고리즘 김땡땡 104호
S101 알고리즘 이땡땡 104호
S102 데이터베이스 정땡땡 102호
S102 데이터베이스 황땡땡 102호

수강자 어트리뷰트의 값이 하나만 되도록 튜플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이제 어떤 수강생이 듣는 강의 정보를 지우거나 갱신할 일이 생기더라도 다른 수강자들의 정보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2NF에 관해서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1026

 

1026번: 보물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에 있는 N개의 수가 순서대로 주어지고, 셋째 줄에는 B에 있는 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A와 B의 각 원소는 100보다 작거

www.acmicpc.net

 

예전에 풀었던 문제들을 복습하면서 정리중입니다.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어렵지만 구현은 간단한 문제입니다.

A에 있는 수와 B에 있는 N개의 수를 하나씩 뽑아 곱해 더하고 그 누적합을 최소로 만드는 문제입니다.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A에서 가장 작은수를 B에서 가장 큰수, 그 다음으로 작은 수를 다음으로 큰 수와 곱하는 식으로 계산해주면 됩니다.

문제의 조건에선 B를 재배열하지 말라고 하지만... 요구하는 정답이 A의 배열이었다면 몰라도 누적합이기 때문에 그냥 신경쓰지 않고 정렬해줘도 상관없습니다.

더보기

생각

예를 들어 2,8,1과 6,3,5가 입력으로 주어졌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를 각각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1,2,8과 6,5,3이 됩니다. 
문제의 정답은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두 집합의 수를 곱한 6 + 10 + 24 = 40이 됩니다.
6,3,5의 배열이 바뀌었지만 1,2,8과 6,5,3의 곱의 위치를 바꾸어 1,8,2와 6,3,5로 생각해도 답은 같습니다. 
그냥 적합한 순위의 수를 매번 찾기가 귀찮아 정렬해 놓았다고 생각해 버립시다.

 

 

아이디어가 맞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A에서 기존의 가장 작은 수를 a 라고 하면 a가 아닌 어떤 수는 a+c로 나타낼 수 있을겁니다. (a와 같을 수 있음, 즉 c≥0)

B에서 가장 큰 수를 b라고 하면 b가 아닌 어떤 수는 b-d로 나타낼 수 있을겁니다. (마찬가지로 d≥0)

아이디어가 틀리다면 다른 순서로 수를 배열했을때 합이 더 작아져야합니다.

 

다른 순서로 수를 배열한다면 기존의 (a * b) + ((a+c) * (b-d))가 (a * (b-d)) + ((a+c) * b)로 대체될겁니다.

 

각 식을 계산해 풀어주면 1. ab + ab + cb - ad - cd 와 2. ab - ad + ab + cb가 됩니다.

다른 수를 선택해서 합이 더 작아지는 케이스가 있다면 1번 식보다 2번 식이 더 작아야합니다.

즉 1번식 - 2번식 > 0 이 성립해야하는데, 계산해보면 cd < 0이 되고 c와 d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기 때문에 성립하지 않습니다. (c와 d가 둘 다 0이라면 같은 크기일 순 있지만, 이때의 선택도 정답 조합의 하나가 됩니다.)

 

따라서 A에서 가장 작은 a와 B에서 가장 큰 b를 곱하는게 최소값이 되는 조합이고, 이렇게 fix된 a와 b를 제외한 A' B'로 다시 최소합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같은 증명으로 A와 B의 크기가 1이 될 때까지 적용이 가능합니다. 

둘의 크기가 1이라면 당연히 곱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밖에 없겠죠.

 

따라서 위와같이 정렬된 A와 역정렬된 B를 순서대로 곱한 합이 최소값입니다.

 

(제가 수학전공이 아니기 때문에 증명은 틀릴 수 있습니다... )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
B = list(map(int, input().split(' ')))

A.sort()
B.sort(reverse=True)

answer = 0

for i in range(0,n):
    answer += int(A[i]) * int(B[i])

print(answer)

 

 

728x90

+ Recent posts